정보공개포털은 국민의 알권리를 보장하고 정부의 투명성을 높이기 위해 만들어진 온라인 플랫폼입니다. 공공기관이 보유하고 있는 다양한 정보를 국민들이 쉽게 접근하고 활용할 수 있도록 돕는 중요한 창구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정보공개제도의 개념부터 정보공개포털의 이용 방법까지 상세히 알아보겠습니다.
정보공개제도란 무엇인가?

정보공개제도는 공공기관이 직무상 작성 또는 취득하여 관리하고 있는 정보를 국민의 청구에 의해 열람, 사본, 복제 등의 형태로 공개하거나, 공공기관이 자발적으로 또는 법령에 의해 보유 정보를 배포하는 제도입니다. 이 제도는 국민의 알권리를 충족시키고 정부의 투명성과 신뢰도를 높이기 위한 목적으로 운영됩니다.
정보공개 청구권자
정보공개를 청구할 수 있는 권리를 가진 사람들은 다음과 같습니다.
- 모든 국민: 청구인 본인 또는 대리인을 통해 공공기관에 정보공개를 청구할 수 있습니다.
- 법인 및 단체: 대표자의 명의로 정보공개를 청구할 수 있습니다.
- 외국인: 국내에 일정한 주소를 두고 거주하거나, 학술·연구를 위해 일시적으로 체류하는 자, 국내에 사무소를 둔 법인 또는 단체에 한해 정보공개를 청구할 수 있습니다.
정보공개 대상 기관
정보공개 청구 대상이 되는 공공기관의 범위는 다음과 같습니다.
- 국가기관(행정부, 국회, 법원, 헌법재판소, 중앙선거관리위원회)
- 지방자치단체
- 정부투자기관
- 각급 학교
- 특별법에 의해 설립된 특수법인
- 지방공기업법에 의한 지방공사 및 지방공단
- 정부산하기관 등
정보공개포털 이용 방법
정보공개포털(www.open.go.kr)은 정보공개청구뿐만 아니라 원문공개, 정보목록 검색, 사전공표정보 게시, 정보공개 제도 안내, 각종 관련 서식 제공, 수수료 안내 등 정보공개에 관한 통합 서비스를 제공하는 플랫폼입니다.
회원가입 및 로그인

정보공개포털을 이용하기 위해서는 본인인증이 필요합니다. 회원가입을 하면 로그인 절차만으로 홈페이지의 각종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습니다. 비회원 로그인도 가능하지만, 정보공개청구 처리 과정 확인 시 매번 개인 정보를 다시 입력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습니다.
정보 검색 방법
정보공개포털에서는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정보를 검색할 수 있습니다.
- 원문정보 검색: ‘공개정보’ → ‘원문정보’에서 검색어를 입력하여 원문정보를 찾을 수 있습니다.
- 정보목록 검색: ‘공개정보’ → ‘정보목록’에서 검색 기능을 이용해 원하는 정보가 있는지 확인할 수 있습니다.
- 주제별 분류: 12가지 주제별로 분류된 문서들 중에서 원하는 정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정보공개 청구 방법
원하는 정보가 원문정보로 공개되어 있지 않다면, 다음 단계를 통해 정보공개를 청구할 수 있습니다.
- 정보공개포털에 접속하여 로그인합니다.
- ‘청구/소통’ → ‘청구신청’을 클릭합니다.
- 청구 주제와 제목, 내용을 작성합니다.
- ‘기관찾기’를 클릭하여 정보를 보유한 기관을 선택합니다.
- 청구인 정보를 확인하고 ‘청구’ 버튼을 클릭합니다.
청구가 완료되면 담당 직원이 배정되어 10일 이내에 답변을 받을 수 있습니다.
정보공개포털의 특징과 장점
정보공개포털은 다양한 특징과 장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 통합 서비스 제공: 중앙행정기관 등 3,000여 개 공공기관의 정보를 한 곳에서 검색하고 청구할 수 있습니다.
- 사용자 편의성: 인터넷 포털에서 검색하듯이 쉽게 정보를 찾을 수 있습니다.
- 다양한 정보 제공: 원문정보, 사전정보, 정보목록 등 다양한 형태의 정보를 제공합니다.
- 투명한 정부 운영: 정부와 국민 간의 정보 격차를 줄여 정부의 투명성과 신뢰도를 높입니다.
정보공개포털은 연간 700만 명이 이용하는 중요한 플랫폼으로, 국민의 알권리를 보장하고 정부의 투명성을 높이는 데 큰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필요한 정보가 있다면 정보공개포털을 통해 쉽고 편리하게 접근해보세요.